국제공학기술학술지

AEC 프로젝트에서 토목 및 건축 데이터 통합을 위한 프로세스: 한국 사례 연구
국제공학기술학술지

ABSTRACT

이 논문은 건축, 엔지니어링, 건설(AEC) 프로젝트의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CIM (Civil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활용하여 건축 및 토목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방법은 정확한 통합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AEC 프로젝트의 복잡한 기하 구조와 미지의 공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발견되는 설계 및 시공 오류의 수를 줄이고 의사결정 과정을 개선할 수 있다.이 프로세스는 건축 및 토목 요소의 도면, 지질 및 지형 도면과 지도, 3D 측량 결과, 기타 계측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제안된 프로세스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의 광명동굴 프로젝트에 이를 적용한 결과, 수십 GB에 달하는 3D 측량 데이터를 100MB 미만의 BIM 모델로 성공적으로 변환하였다.

키워드: 데이터 통합, 건축 데이터, 토목 데이터, 빌딩 정보 모델링(BIM), 토목 정보 모델링(CIM), 프로세스

Authors Jong sung Won, Seonwoo Kim, Honghyun Kim, Jaeyub Kim School of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South Korea Syntegrate Limited, Hong Kong, China, Syntegrate LLC., South Korea

https://www.sciencepubco.com/index.php/ijet/article/view/18900/8666

이 논문은 BIM 모델과 건축 도면을 포함한 건축 데이터와, CIM 모델, 3D 측량 데이터, 지질 및 지형 지도 등을 포함한 토목 데이터를 통합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세스는 복잡한 기하 구조를 설명하고, 현장에서 발견되는 설계 및 시공 오류의 수를 줄이며, AEC 프로젝트의 정확한 기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 과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검증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해당 방법이 프로젝트에 미치는 정량적 효과를 분석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다양한 프로젝트에 이를 적용하여 비용과 일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TOP READERSHIP